만족스러운 유저 쇼핑 여정 만들기!
패션 플랫폼 검색 결과 화면 개선
Part 1. 검색 결과 화면 이해하기
*서비스 기획 쪼렙의 아둥바둥 이야기입니다... 확실하지 않은 뇌피셜이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대환영입니다!
검색 결과 화면을 잘 만들어야하는 이유!
'탐색 과정'
오프라인 쇼핑과 온라인 쇼핑의 가장 차별화 되는 점인 동시에 소비자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 '탐색 과정'이며 이러한 소비자들의 여정을 만족스럽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부분이 바로 이커머스 앱의 잘 갖춰진 검색 결과 화면이다.
탐색은 유저 구매 여정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동시에 가장 많은 이탈이 일어나는 부분이다. 이커머스의 핵심 화면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탐색과정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검색 결과 화면이 과도하게 복잡하거나, 과도하게 심플하여 유저의 니즈를 충족하지 못한다면 탐색에서의 이탈이 늘어나고 구매 전환률은 떨어지기 때문에 지속적인 사용자 경험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특히 다양한 브랜드의 옷을 판매하는 버티컬 패션 플랫폼이라면 매력적이고 직관적인 검색 결과 화면으로 탐색과정에서의 이탈을 줄이고, 구매로 전환시킬 수 있는 충분한 상품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커머스 모바일앱 검색 결과 페이지를 개선하기에 앞서, 이커머스 검색 결과 화면의 목적과 주요 역할 그리고 필수적으로 화면에 포함해야 하는 정보 요소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 검색 서비스의 목표 🎯
나름대로 검색 서비스의 주요 목표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다.
검색 서비스의 궁극적 목표는 '유저가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WHY? 유저 구매 유도!
유저는 원하는 상품을 찾을 때까지 탐색과 평가 과정을 반복하며 서비스 내 수많은 상품들과 정보들을 충분히 씹고 뜯고 맛본다. 그 이후 비소로 유저는 최종 결정을 마치고 구매과정에 도달한다. 즉, 검색 서비스를 통해 최종적으로 유저가 원하는 상품을 찾을 수 있게 하여 '유저의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다.
앞서 말한 목적에서 '상품'이 아닌 '정보'라고 한 이유가 있다!
이커머스 앱 검색 결과 화면을 살펴보면 검색 키워드에 맞는 상품 리스트와 함께 인기 있는 해시태그, 연관 상품, 유저 시착/유저 사용 사진 등을 검색 결과 화면에 노출하여 유저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유저가 필요한 상품과 '필요..한 것 같아!' 하는 연관 상품까지 발견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부가적인 기능들은 다음 파트에서 다루겠다.
2. 검색 결과 화면의 기본 구성 요소
검색어 입력창, 결과 리스트(필터링, 상품 이름, 상품 이미지, 가격 정보)
(1) 검색어 입력창
유저들은 우선 검색어 입력창에 원하는 상품을 검색한다.
입력창에 입력된 검색어와 데이터를 매칭하여 결과 화면에 노출하는데, 여러 서비스들의 결과 화면을 살펴보면 검색어에 완벽히 매칭되는 결과만을 노출하지 않는다. 해당 검색어와 유사한 상품과 컨텐츠들을 함께 보여줌으로써 유저가 최초 의도하지 않았던 연관 상품의 구매까지 고려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패션 모바일 앱에서는 검색어 입력창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무신사와 에이블리, W컨셉 검색 화면을 확인했다.
상단바
무신사, 에이블리, W컨셉 등 대부분의 패션 모바일 앱은 상단 내비게이션 바에 검색창을 배치하였는데, 이러한 배치로 유저들은 앱에 진입하자마자 빠르고 쉽게 원하는 상품의 검색이 가능하다.
검색 버튼 클릭-검색창 진입
특이한 점은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세요'라는 문구가 아닌 프로모션과 관련된 문구가 적혀있었는데, 유저들의 눈길이 잠시 머무는 이런 작은 영역조차 구매 유도를 위해 알차게 쓰이고 있었다. (이 부분을 플레이스 홀더라고 하더라!)
검색창 진입 시 인기 검색어와 최근 유저가 검색한 검색어가 노출된다. 무신사와 에이블리의 경우 최근 검색 기록이 없는 경우에는 최근 검색어를 활성화하지 않고 바로 랭킹을 노출시켜 유저에게 다양한 구매 선택지를 추천해 준다. 에이블리는 최근 검색 기록이 있는 경우, '최근 검색어'영역과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2차로 노출하도록 설계하여 유저 편의성을 높였다.
대부분의 앱이 '인기 검색어/최근 검색어' 구성을 비슷하게 가져가되, 우선순위에 따라 배치의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유저의 앱 사용 패턴을 고려한 결과일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유저의 이용 패턴 분석이 검색 결과 영역에서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W컨셉의 앱 메인화면을 보면 신상자켓, 원피스 등의 카테고리 영역이 배너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는데, 특정 카테고리를 입력하면 바로 검색 결과 화면으로 진입한다. 이러한 진입 단계를 '검색을 시행했다'고 인식하여 최근 검색어에 카테고리 키워드를 띄운다. 검색창으로 랜딩 시키는 버튼이 메인 상단에 배치되어 있어 검색창 진입 시 최근 검색어를 상단에 노출하도록 설계한 것이 아닌가 추측해 본다. 🤔
검색어 입력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취소버튼이 활성화되고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들을 노출하는데, 검색어가 브랜드 이름에 포함된 경우에는 브랜드가 우선 노출되고 그다음 검색어와 일치하는 키워드를 노출하는 순서가 일반적인 듯하다.
패션 플랫폼과 같이 특정 카테고리의 상품만을 판매한다면 아래와 같은 부분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 유저들이 '브랜드'를 더 많이 검색한다. (특정 브랜드의 상품을 찾음,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유저가 많음)
- 유저들이 '상품 키워드'를 더 많이 검색한다. (브랜드에 상관없이 사고자 하는 상품 키워드 중 마음에 드는 상품을 찾음)
(2) 검색 결과 리스트(필터링, 상품 이름, 상품 이미지, 가격 정보)
검색창에 검색어 입력을 마치면 검색 결과 리스트를 볼 수 있다.
이 화면이 유저들의 탐색 과정 만족도를 좌우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초기 패션 커뮤니티로 시작하여 현재 패션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무신사는 엄청난 '커뮤니티'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다양한 컨텐츠가 있는 만큼 검색 결과 리스트에서도 엄청나게 많은 정보를 노출하고 있다. 무신사, 오늘의집과 같은 커뮤니티 커머스는 사실상 상품을 찾는 목적의 검색창이라기 보단 '통합 검색 서비스'이다.
부족한 실력으로... 여러 가지 패션 플랫폼을 확인하고 큰 구성을 확인해 보았다..🫣
커뮤니티 커머스가 아닌 패션 플랫폼의 검색 결과 화면은 아래 구성을 기본으로 한다.
상단에 검색창/연관검색어/필터링 영역을 배치하고 그 아래 브랜드 정보 혹은 프로모션을 배치하는 식이다.
상단 영역
- 연관검색어 : 검색 결과 화면의 상단에 두어 무엇을 검색해야 할지 막막한 유저들의 고민을 해결하는 동시에 유저들이 관련 상품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 검색창과 필터링 영역 : 내비게이션 영역으로 유저들의 탐색 편의성을 위해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이 영역은 서비스마다 상단 고정 범위가 달랐다. 상품 정렬 부분을 내비게이션 영역에 포함하기도 하고 아예 뺀 경우도 있었다. 원하는 상품이 비교적 확실한 패션 플랫폼 유저들에게 정렬보다는 필터에 초점을 맞추려는 의도인지 모르겠지만 유저 입장에서는 정렬을 위해 상단으로 올라가는 액션을 취해야 해서 다소 불편했다.
메인 영역
상품 리스트 영역은 브랜드/상품이름/할인정보와 가격/기타 정보(좋아요, 후기, 평점, 관련 태그 등)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부분의 앱에서는 브랜드-상품이름-가격 정보로 리스트를 나열했지만 가격 경쟁력을 갖춘 에이블리는 특이하게 가격을 우선 배치하였다.
마치며
이번에 패션 플랫폼 검색 화면 서비스 개선 챌린지에 참여하게 되었고 스스로 학습을 기록해 봐야겠다 생각해서 글을 작성했다.
정말 너무나 쪼렙인지라 처음부터 차근차근 알아가 보자는 마음으로 검색 화면의 기본 구성이 무엇인지, 관련 서비스들은 이 화면을 어떻게 배치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온라인 쇼핑 매니아로서 검색 결과 화면이 얼마나 유저의 사용성에 큰 영향을 주는지 알고는 있었지만 디테일하게 관찰해 보니 생각보다 많은 기획들이 녹아들어 있었다. 분석을 시작한 지금 시점에서 그리고 이후 본격적으로 하나의 서비스를 분석하여 개선하게 될 시점에서, 경력 있는 기획자분들이 고심하여 만들어 놓은 부분을 내가 과연 제대로 문제점을 발견하고 가상의 유저들을 만족시킬 수 있을지 미지수이지만, 일단! 열심히! part 2, 3 ... 그리고 마무리까지 노력해보려고 한다 🫠
'인사이트 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Force Model, PEST 분석을 공부해보자! (0) | 2023.04.12 |
---|---|
UI/UX 분석하기 01. '위시버킷'은 왜 이렇게 구성되어있을까? (2)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