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저 리서치로 서비스 필요성 증명하기
프로모아(가제) 빌딩
지난 프로젝트들(마트가실, 웅진개선)때는 내용을 어디까지 오픈해도 되나 고민이 많아서 '어떻게 했다' 보다는 '무엇을 했다' 위주로 일지를 작성했다. 일지에서는 무엇을 하고 배웠는지를 적는게 좋을 것 같아 이번에도 일지는 비슷한 구성으로 적되, 3개의 프로젝트들을 아예 새로 글을 작성해서 정리를 할 예정이다.
이번주차에서는 우리팀이 만들고싶은 서비스가 왜 필요한지 증거를 찾는것에 집중했다.
프로모아의 시작을 함께 할 사람을 찾습니다! (6/5~6/9)
1. 유저 리서치
데스크, 인터뷰를 활용하여 우리의 타겟 고객인 '대학생'이 실제로 페인포인트를 겪고있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지를 확인했고,
이 과정에서 유저 리서치의 결과를 우리 서비스의 필요성 입증의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기위해 노력했다.
'우리는 이런 서비스를 할거고 이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대답을 유저들에게 유도하겠다'가 아니라 '유저가 이게 필요하다고 하니 우리가 맞춰가자'는 마인드! 서비스 기본 아이디어는 잡혀있었지만 유저 리서치에서 우리의 생각이 틀렸다는 것이 확인되면 전면 수정할 마음가짐으로 리서치를 진행했다.
리서치는 설문조사와 타겟인터뷰를 사용하였다.
대학생 커뮤니티위주로 설문조사를 돌렸고 주변 지인을 활용하여 인터뷰이를 모집했다.
(1) 설문조사
마트가실에서 설문조사할 때도 느꼈지만 설문조사 항목을 만드는것이 정말 힘들다.
답변자가 착한 대답, 우리가 원하는 대답을 하도록 유도하지 않고, 오로지 답변자의 의견을 들을 수 있도록 세팅하는것이 중요했다.
설문지 항목을 만들면서 멘토님에게 설문지 질문을 만들 때 주의해야할 점들에 대해 듣고,
우리의 이전 설문지 작성 경험과 아티클들을 토대로 생각한 설문지를 만들 때 고려한 점은 4가지이다.
1. 우리가 원하는 답변을 유도하지말라
2. 서비스 사용 의사를 묻지말라
3. 문항을 길고 복잡하게 만들지말라
4. 질문 답변에 대한 예시를 제공하라.
1번을 위해 우리는 과감하게 상품 제공을 뺐다.
상품을 제공하게되면 답변자들이 본인의 상품 당첨 확률을 위해서라도 우리가 설문지를 만든 의도에 무의식적으로 맞추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향은 당첨이 랜덤이라고 명시하여도 크게 달라지지않는다.
상품이 없으니 너무나 당연하게도 응답자수가 원하는만큼 나오지않았다.
이전 프로젝트때 퍼실리테이터님이,
설문조사는 표본이 클 때 유의미한 조사방법이라 우리 같은 작은 프로젝트에서는 큰 인사이트를 얻기어려울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마트가실>서비스를 기획했을 때도 인터뷰 내용에 더 힘을 섰었고 설문지 결과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설문지는 실제로 유저들이 '문제'를 겪고 있는지 우리가 확인해보는 절차에 가까웠다.
이번에도 우리는 설문지를 그러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했다.
우리가 설정한 가설들이 아무래도 최신데이터들은 아니니 (대학교 ... 안간지 5년 넘은것 같은데.....) 실제 대학생들도
프로젝트 기록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느끼는지 응답을 받는것이 중요했다.
그래서 응답자수가 생각보다 많이 나오지 않은것에 대해 큰 문제는 없었다.
아직도 이게 좋은 결정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우리 프로젝트 진행에 큰 이슈사항이 아니었으니 잘못된 결정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2번은 멘토님이 알려주신 부분인데,
설문지를 돌릴 때 많은 질문을하고 마지막에 의사를 물어보게되면 '진짜 사용의사'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했다.
실무에서는 베타 서비스 랜딩페이지를 만들어 서비스 사용의사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한기도 한다고 알려주셨다.
그래서 시간을 너무 많이 뺏기지 않는선에서 우리도 베타 랜딩페이지로 의사를 확인해보는 방법을 쓰기로하여 랜딩페이지를 제작하였고
지금도 계속 테스트를 진행하는 중이다.
(2) 인터뷰
대학교에서 조교하는 친구에게 부탁해서 몇명을 모집했는데 하필 대학생 시험기간이라 많은 사람을 인터뷰하지는 못했다.
대신 다른 팀원분들것도 합해보니 꽤 많이 모아져서 인터뷰이 모집은 생각보다 빠르게 종료했다.
인터뷰에서 많은 인사이트를 얻기위해서 질문지 작성에 '타겟에게서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먼저 아는 과정이 필요했다.
우리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은 크게 '프로젝트의 필요성 인지 유무, 프로젝트와 취업 연관성, 프로젝트 회고 구체성 정도' 였다.
프로젝트 경험들을 취업 때 활용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프로젝트 정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면서 그 프로젝트를 취업 포트폴리오, 이력까지 연결시키려는 의지가 있는지 확인하는것이 키포인트였다.
'회고 등의 구체적인 정리'를 어떻게 하고있는지도 중요했다.
대학생들은 프로젝트를 취업에서 사용하기 위해 '협동 경험, 발전한 모습'을 중점으로 보여주며 역량을 어필하는데,
내가 학생때도 그랬지만 이 부분을 어필할 때 가장 중요한 '회고'의 방법을 잘 몰랐었다.
'체계적인 정리를 도와주는 것'이 유저가 우리 서비스를 활용해야 하는 이유라고 생각하여 요즘 대학생들도 내 대학시절과 비슷한지, 의외로 잘 정리하고 있다면 어떻게 하고있는지 알고싶었다.
이런식으로 메인 주제를 정하고 추가 질문을 뻗어나가며 팀원들이 작성한 내용들을 토대로
1. 프로젝트 경험
2. 프로젝트 정리 유무
3. 프로젝트 경험 활용
4. 프로젝트 공유
4가지 섹션을 나눠 질문을 작성했다.
질문지를 참고해서 인터뷰를 진행했고 인터뷰이와 유연하게 소통하면서 다른 질문을 추가하기도, 필요없는 질문은 제외하기도 했다.
인터뷰에서는 인사이트를 많이 얻을 수 있었다.
인터뷰 답변중에서 추가해야할 기능들, 다이어트 시킬 기능들을 솎아낼 수 있었고 강조해야할 기능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터뷰 과정에서 아쉬운점은 내 인터뷰이분들이 지방에 거주하셔서 대면인터뷰를 못한 점이다.
줌이나 전화가 주는 한계가 분명 있기 때문에 실제로 만나뵙고 싶었지만 ... 네... 편도 4시간은 .....너무 멀어요
다음에는 당근 같은곳에 한번 모집글 올려봐도 좋을것 같다.
우리 지역 특성상 이런 활동은 특정 종교단체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고 인터뷰이들를 이미 충분히 모집해서
안올렸는데 추가가 필요하면 시도해봐야겠다.
2. 유저 사용 의사 확인을 위해 랜딩페이지 계획
멘토님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이번주 데모데이 발표에 꼭 필요한 필수 산출물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정도만 시간을 투자하여 랜딩페이지를 제작 해보기로 했다. 내가 미리 만들어가서 팀원들이 워딩 수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했고
여기서 주요 기능으로 뽑은 것들은 설문지, 인터뷰를 통해 뽑아낸 유저 요구사항들을 많이 반영했다.
랜딩페이지에 프로토타입을 만들 때는 우리 서비스를 웹으로 할지 PC앱으로 할지 명확히 논의를 못한 상태였어서(지난주부터 만들고 있었다.) 프로토타입 만들기 직전에 결정된 PC앱 느낌으로 제작했다. 그런데 최종 완성본은 웹으로 결정이라 프로토타입에 엄청난 변화가 있을 예정이다.
랜딩페이지는 아임웹을 사용했다.
처음 써보는 툴이라 아직도 내가 원하는대로 안나와서 힘들지만 몰래 몰래 계속 수정하고있다...!
막간 랜딩페이지 홍보!!!
✅ 서비스 이름 : 프로모아
✅ 컨셉 : 체계적인 프로젝트 기록 및 관리 툴
✅ 소개 :
대학생분들의 대내외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체계적인 프로젝트 정리 템플릿(4L과 같은 회고 툴 등) 제공',
'내 역량과 지원할 회사에서 원하는 역량 일치도 분석' 등의 기능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https://promoa.imweb.me
PROMOA
체계적인 프로젝트 기록툴
promoa.imweb.me
* 유데미 큐레이션 바로가기 : https://bit.ly/3ZpMIP7
* STARTERS 취업 부트캠프 공식 블로그 : https://blog.naver.com/udemy-wjtb
본 후기는 유데미-웅진씽크빅 취업 부트캠프 5기 IT 서비스기획 학습 리뷰로 작성되었습니다.
'갓생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데미 STARTERS 취업 부트캠프 5기 IT 서비스 기획] 12주차 학습 일지, 푸념 (0) | 2023.06.25 |
---|---|
[유데미 STARTERS 취업 부트캠프 5기 IT 서비스 기획] 11주차 학습 일지 (0) | 2023.06.18 |
[유데미 STARTERS 취업 부트캠프 5기 IT 서비스 기획] 9주차 학습 일지 (1) | 2023.06.04 |
[유데미 STARTERS 취업 부트캠프 5기 IT 서비스 기획] 6주차 학습 일지 - 2 (0) | 2023.05.21 |
[유데미 STARTERS 취업 부트캠프 5기 IT 서비스 기획] 6주차 학습 일지 - 1 (1) | 2023.05.14 |